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안동시 공무원들과 시의원들이 지금 싸울 때인가?
  • 임정윤 기자
  • 등록 2022-12-24 10:41:13
기사수정
  • - 시의원들의 일본방문, 공무원들의 역량강화 예산 삭감으로 갈등
  • - 제설차 구비에 쓸 돈은 없어도 시의원들 외유, 공무원들 역량강화에는 목숨 걸어야 하나?
  • - 더 많은 눈이 내릴 것을 대비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


거의 10여년만에 안동에 많은  눈이  내렸다. 




시에서는 수요일 밤 0시부터 제설 작업을 시작했고,. 새벽 4시에도 염화 칼슘을 사전 살포를 했다.  아침 7시부터 눈이 내리기 시작했다.  안동 시가지는 제설 작업이 그런대로 잘 처리되어  차량 이동이 수월한 편이었다. 





안동 읍·면·동은 제설 작업이 되지 않은 곳이 많았다. 도산면 외곽 도로 쪽은 눈이 그대로 남아 있거나 빙판을 이루고 있었다. 면사무소 직원은 제설 차가 1대 비치 되어 있는데, 차가 파손되는 바람에 제설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읍·면·동에 제설 차를 최소 2대는 준비해두어야 하지만 안동이 크게 눈이 내리지 않는 도시이기도 하고, 예산 확보도 되지 않은 상태라는 점에서 시는 안일한 대응을 하고 있었다고 보여진다. 






제설 작업이 되지 않아 외곽 지역에서는 퇴근하고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집으로 가는 길이 밤이 되어 빙판길이 되어 있었다. 제설 작업이 어려운 이유를 날씨가 추워서, 제설작 업하는 인부들이 최근에 젊은 사람들로 교체가 되었는데, 경험이 많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도 관계자가 전해주었다.   






마을까지 가는 길이 빙판이어서 퇴근 후 집으로 돌아가지 못했다는 시민 A씨




10여년만에 갑자기 내린 눈으로 안동시는 우왕좌왕하는 모습이었다. 준비도 하기전에 여기저기서 불만들이 터져나와 건설과 직원들은 1명이 300여통의 항의전화를 받기도 했다고 한다. 인력부족, 예산부족이라고 이야기한다. 저녁이 되어서도 골목골목마다 빙판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다. 외곽지도 골목도 작년까지만 해도 이렇게 빙판이 제거되지 않은 적이 없었다. 


이 와중에 시의회와  공무원들의 싸움이 가관이다. 시의원들은 22일부터 일본 연수를 위해 4박5일 일정으로  홋카이도를 방문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시의원들의 일본 방문은 연수가 아니라 관광이 목적이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한다.  시의원들은 눈꽃 축제 벤치마킹을 위한 방문이라고 한다. 제설도 제대로 되지 않는 행정에 눈꽃 축제가 그렇게도 급한 사무일까? 공무원들 쪽에서는 내년도 시청 직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예산 상당 부분이 삭감되었다고 시의회를 비난하고 있다. 


시의원들도, 공무원들도 자신들의 이익보다는 시민들의 불편을 우선 살펴야 할 것이다. 안동 시의 읍·면·동에 제설 차가 1대 뿐이고, 염화 칼슘이 섞인 모래가 눈이 내린 날 오전에 이미 동이 났다는 사실을 알고나 있었는지 궁금하다. 제설 차량은 안동 시에서는 예안 면이 유일하게 2 대가 갖추어져 있고, 나머지 읍·면·동에는 1 대씩만 비치 되어 있었다. 그나마 파손이 되면 제설 작업이 멈추게 되는 상황이었다. 안동 시가지도 제설이 대충 되었다고는 하나 인부들이 30시간을 일한 후여서 쉬어야 한다며 제설 작업이 연결되지 않고 있었다. 


내년 1월에는 예년보다 더 많은 눈이 내린다고 한다. 이 상태로는 예측하지 못할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리라고 누가 보장하겠는가? 시에서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후원안내
안동시광고
안동_유교책판
안동시맑은물사업본부 상생수
경북광역자활센터
제9대 안동시의회 개원
킹덤플랜트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토지매매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안동시청 공무원들 정신나갔나? A재활원이 폐쇄된 후 안동시청 공무원들의 횡포가 시민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안동시청 H과장, Y팀장, K주무관, 애명다온빌 O원장, 안동시온재단, 안동요양원 P원장, 선산재활원 G이사장, B원장이 참석한 면담이 오후 4시부터 5시까지 있었다. 이 날 황성웅 과장은 휴대폰을 모두 끄고 허심탄회하게 말해보자고 했다고 한다. 그러더니 “박...
  2. 이철우 도지사, 예천에 왜 이러나? 현 경북 군위군 소재 '경북농민사관학교' 는 군위군의 대구편입과 관련, 2022년 2월 예천군 호명면 산합리 소재 경북도청 이전지로 이전하기로 결정되었다. 경상북도는 2022년에 300억원 가량의 예산을 편성했고, 농산물유통교육진흥원과 경북농민사관학교 건물을 신축하여 2024년까지 이전하기로 하고, 현재 공사 중이다. 이철우 경북도...
  3. 암덩어리 품은 안동, 수술이 그렇게도 어렵나? "법으로 문제없다. 법으로 문제없으니 제재할 방법이 없다." 안동 풍산읍 평지길에 S비료공장이 있다. 이 업체는 2013년에 설립되어 음식물류 폐기물을 활용하여 비료를 생산해낸다. 제174회 안동시의회 제2차 정례회(2015년 11월 26일) 산업건설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김백현 위원은 S비료공장의 악취와 환경오염에 대한 언급을 한 적이 있다. ...
  4. 권기창 시장, 시민들을 더 이상 천덕꾸러기 만들지 말라! 권기창 시장이 취임하고나서부터 지금까지 공정하지 않은 행보 때문에 시민들은 몹시도 불편하다. 권시장 스스로는 시민들의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시민의 입장에서 생각, 시장인 본인이 먼저 솔선하여 안동시와 공직자의 새로운 변화가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권시장이 취임하기 전 공약들과 공정함의 약속들이 제...
  5. 안동의료원 2년 3개월만에 진료는 다시 시작했으나 의사가 없는 부서 많아 안동의료원 문기혁 원장이 지난 6월 사임한 것으로 밝혀졌다. 문원장의 사임은 의료원 직원들조차 알지 못하고 있었다. 사임이유는 일신상의 이유라고 병원측에서는 전했다. 하지만 문원장의 성폭행으로 인한 사임이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병원측에서는 맞다고도 아니라고도 하지 않았다. 안동의료원은 최근 2년 3개월만에 진료를 재개..
최신뉴스더보기
한샘리하우스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