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한글자료 특별전 ‘모두의 글자, 한글’ 개막
  • 임정윤 기자
  • 등록 2023-07-31 09:08:34
기사수정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2023년 정기기획전 모두의 글자한글’ 전시를 7월 25()부터 개막했다한국국학진흥원은 국내 국학자료 최다 소장 기관으로 현재 60만 점이 넘는 자료를 기탁받아 보존 관리하고 있다이 가운데 한글자료만을 선별해 특별전을 개최하는 것은 이번 전시가 처음이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한글자료들


 

 이번 전시의 백미는 한국국학진흥원에서만 볼 수 있는 한글자료들이다. 18세기 전국의 사투리[土俚방언]를 비교 분석해 기록한 강후진(康侯晉, 1685~1756)의 찬집감영록(7)은 지금 우리가 알기 어려운 당시 평안도·함경도·황해도의 사투리를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서애 류성룡의 6세손 류운(柳澐, 1701~1786)이 서울에서 의금부도사를 역임할 당시 막 맞이한 서울출신의 며느리 연안이씨에게 보낸 50여 통의 한글편지도 선보인다조선 시대 지방 출신의 시아버지와 서울 출신의 며느리는 어떤 사연으로 어떤 이야기들을 나누었는지 한글편지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이 외에 도산서원 내사본인 소학언해와 논어·맹자·대학·중용의 언해본들도 전시에서 볼 수 있다이 자료들은 선조宣祖 때 교정청에서 간행한 것으로 16세기 말엽의 국어자료로서 큰 가치를 지닌다



송기식의 봉양가_함안조씨 해창 조병국 家 기탁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류운의 한글편지_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 (북촌) 기탁(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전시장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모두의 글자 한글에 담긴 우리 모두의 삶 


 

 시아버지와 한글편지를 주고받은 며느리 연안이씨는 내방가사의 대표적인 작품 쌍벽가의 작가로도 유명하다이번 전시에서 연안이씨의 작품 쌍벽가와 부여노정기」 그리고 김우락 여사의 조손별서」 등 내방가사 자료들도 관람할 수 있다내방가사는 지난해 2022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지역목록에 등재되었다


연안이씨의 부여노정기_풍산류씨 하회마을 화경당(북촌)기탁(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전시장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전시장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해창海窓 송기식(宋基植, 1878~1949)과 해창海蒼 조병국(趙柄國, 1883~1955)의 같고도 다른 삶을 보여주는 한글자료도 만나볼 수 있다기독교를 전파했던 조병국의 종교창가별집과 봉양서숙을 운영하며 유교를 교육했던 송기식의 봉양가인데두 사람은 만세운동으로 감옥에 수감되었을 때 만난 인연이 있다.

 


 한국국학진흥원 정종섭 원장은 한문 위주의 시대에 중앙 정부의 한글 보급 노력은 어떠했는지근대전환기와 일제강점기의 한글 교육은 어떠했는지그리고 그 속에서 배우고 익힌 한글을 사람들은 일상에서 어떻게 사용했는지 그 생생한 현장을 이번 전시에 담아냈다본원 소장 한글자료 특별전을 통해 한글의 본고장 경북 안동이 더욱 알려지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후원안내
안동시광고
안동_유교책판
안동시맑은물사업본부 상생수
경북광역자활센터
제9대 안동시의회 개원
킹덤플랜트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토지매매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안동시청 공무원들 정신나갔나? A재활원이 폐쇄된 후 안동시청 공무원들의 횡포가 시민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안동시청 H과장, Y팀장, K주무관, 애명다온빌 O원장, 안동시온재단, 안동요양원 P원장, 선산재활원 G이사장, B원장이 참석한 면담이 오후 4시부터 5시까지 있었다. 이 날 황성웅 과장은 휴대폰을 모두 끄고 허심탄회하게 말해보자고 했다고 한다. 그러더니 “박...
  2. 이철우 도지사, 예천에 왜 이러나? 현 경북 군위군 소재 '경북농민사관학교' 는 군위군의 대구편입과 관련, 2022년 2월 예천군 호명면 산합리 소재 경북도청 이전지로 이전하기로 결정되었다. 경상북도는 2022년에 300억원 가량의 예산을 편성했고, 농산물유통교육진흥원과 경북농민사관학교 건물을 신축하여 2024년까지 이전하기로 하고, 현재 공사 중이다. 이철우 경북도...
  3. 암덩어리 품은 안동, 수술이 그렇게도 어렵나? "법으로 문제없다. 법으로 문제없으니 제재할 방법이 없다." 안동 풍산읍 평지길에 S비료공장이 있다. 이 업체는 2013년에 설립되어 음식물류 폐기물을 활용하여 비료를 생산해낸다. 제174회 안동시의회 제2차 정례회(2015년 11월 26일) 산업건설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김백현 위원은 S비료공장의 악취와 환경오염에 대한 언급을 한 적이 있다. ...
  4. 권기창 시장, 시민들을 더 이상 천덕꾸러기 만들지 말라! 권기창 시장이 취임하고나서부터 지금까지 공정하지 않은 행보 때문에 시민들은 몹시도 불편하다. 권시장 스스로는 시민들의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시민의 입장에서 생각, 시장인 본인이 먼저 솔선하여 안동시와 공직자의 새로운 변화가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권시장이 취임하기 전 공약들과 공정함의 약속들이 제...
  5. 안동의료원 2년 3개월만에 진료는 다시 시작했으나 의사가 없는 부서 많아 안동의료원 문기혁 원장이 지난 6월 사임한 것으로 밝혀졌다. 문원장의 사임은 의료원 직원들조차 알지 못하고 있었다. 사임이유는 일신상의 이유라고 병원측에서는 전했다. 하지만 문원장의 성폭행으로 인한 사임이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병원측에서는 맞다고도 아니라고도 하지 않았다. 안동의료원은 최근 2년 3개월만에 진료를 재개..
최신뉴스더보기
한샘리하우스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