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해병 전우회, 군대 물 빼면 안되겠니?
  • 임영희 편집국장
  • 등록 2022-11-04 13:21:18
  • 수정 2022-11-04 13:21:40
기사수정
  • 작성자 : 이재영


이재영 나시민 대표




해병 전우회 회원들은 불법 광고물과 유해 광고물을 단속한다혼잡 시간에 교통 정리를 한다대형 행사장에서 질서를 유지한다특별한 재난 상황이 있으면 구조 활동도 한다이들의 봉사 활동은 대단히 긍정적이다그러나 지나친 자기 과시로 인해서 선행이 묻혀질 뿐만 아니라 국민의 눈살마저 찌푸리게 한다구 군 별로 컨테이너에 사무실을 차려 놓고 조직의 힘을 과시한다경광 등이 달린 순찰차를 운용하면서 경찰 흉내를 낸다해병 군복을 착용하여 위화감을 조성한다선행이 선행으로 인식되려면 조직의 운영이 합법적이어야 한다해병 전우회는 불법을 기반으로 활동하기 때문에자신이 희생한 만큼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먼저 해병 전우회가 설치하는 컨테이너 사무실은 대부분 불법 혹은 편법이다토지 소유주는 시군구청에 신고한 후컨테이너 형태의 임시 사무실을 건축 할 수 있다(건축물 시행령 제155항의 8). 이러한 가설건축물의 존치 연한은 3년이다(건축물 시행령 제151항의 2). 이 경우도 전기·수도·가스 등 새로운 간선 공급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야 한다(건축물 시행령 제151항의 3). 이렇게 볼 때해병 전우회가 임시사무실 설치 신고도 없이 교량 아래나 국유지에 설치한 컨테이너 사무실은 불법이다시군구에 신고하고 설치했다고 할지라도기한연장을 반복하여 상시로 존재하기 때문에 편법이다전기를 끌어들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불법이다.

 

다음으로 해병 전우회가 운용하는 순찰차는 불법이다긴급자동차는 급박한 임무에 사용되는 경찰차군용차교정시설 차량공무 차량이다(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11~4). 이외 긴급자동차로 인정받으려면 시도경찰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3). 긴급자동차가 아닌 자동차가 경광등사이렌비상등을 설치하면 불법 부착물이 된다(29조의 3). 해병 전우회 순찰차는 긴급자동차에 포함되지 않는다긴급자동차로 지정될 수 있는 대상도 아니다(도로교통법 시행령 제215~11 참조). 따라서 경광등을 달고 다니는 해병 전우회의 순찰 차량은 모두 불법 부착물을 부착한 위법한 차량이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해병 전우회 구성원의 군복과 군용장구 착용도 불법이다군복은 군인 외 착용이 금지된다군인이 아닌 자가 군복을 입거나군용장구를 사용하거나 휴대해서는 안 되며(군복 및 군용장구의 단속에 관한 법률 제91), 유사 군복을 착용하여 군인과 식별이 곤란하게 해서도 안 된다(2). 물론 군인 이외 군복 착용이 허용되는 예도 있다국방부령이 정하는 의식과 공익활동그리고 다른 법령에서 정하는 경우가 바로 그것이다(82항의 1~3). 해병 전우회의 활동은 국방부령에도 다른 법령에도 존재하지 않는다따라서 해병 전우회 회원들이 군복과 군용장구를 착용하고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행위는 불법이다

 

해병 전우회가 선한 행위를 하는 건 분명하지만불법적 기반에서 행해지는 선한 행위는 의미가 없다문제는 이러한 점을 해병 전우회만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이제는 고쳐야 할 때다불법으로 자리 잡은 컨테이너 사무실을 철거하고 정식으로 사무실을 임대해서 사용해야 한다순찰차에 설치된 경광등을 제거하고차량 측면에는 해병대 마크가 아닌 고유의 로고를 제작해서 사용해야 한다군복과 군용 장신구 착용을 금지하고유니폼을 제작하든지 일반 복장에 해병 전우회의 로고를 부착해야 한다더욱이 대구 전북 수원 창원 등의 사례에서 보이듯이다수의 해병 전우회 지부는 시군구에서 보조금을 받아 활동하고 있다불법행위를 개선해야 하는 한층 더 무거운 이유가 하나 더 추가되는 셈이다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후원안내
안동시광고
안동_유교책판
안동시맑은물사업본부 상생수
경북광역자활센터
제9대 안동시의회 개원
킹덤플랜트
포토·영상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토지매매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안동시청 공무원들 정신나갔나? A재활원이 폐쇄된 후 안동시청 공무원들의 횡포가 시민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안동시청 H과장, Y팀장, K주무관, 애명다온빌 O원장, 안동시온재단, 안동요양원 P원장, 선산재활원 G이사장, B원장이 참석한 면담이 오후 4시부터 5시까지 있었다. 이 날 황성웅 과장은 휴대폰을 모두 끄고 허심탄회하게 말해보자고 했다고 한다. 그러더니 “박...
  2. 이철우 도지사, 예천에 왜 이러나? 현 경북 군위군 소재 '경북농민사관학교' 는 군위군의 대구편입과 관련, 2022년 2월 예천군 호명면 산합리 소재 경북도청 이전지로 이전하기로 결정되었다. 경상북도는 2022년에 300억원 가량의 예산을 편성했고, 농산물유통교육진흥원과 경북농민사관학교 건물을 신축하여 2024년까지 이전하기로 하고, 현재 공사 중이다. 이철우 경북도...
  3. 암덩어리 품은 안동, 수술이 그렇게도 어렵나? "법으로 문제없다. 법으로 문제없으니 제재할 방법이 없다." 안동 풍산읍 평지길에 S비료공장이 있다. 이 업체는 2013년에 설립되어 음식물류 폐기물을 활용하여 비료를 생산해낸다. 제174회 안동시의회 제2차 정례회(2015년 11월 26일) 산업건설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김백현 위원은 S비료공장의 악취와 환경오염에 대한 언급을 한 적이 있다. ...
  4. 권기창 시장, 시민들을 더 이상 천덕꾸러기 만들지 말라! 권기창 시장이 취임하고나서부터 지금까지 공정하지 않은 행보 때문에 시민들은 몹시도 불편하다. 권시장 스스로는 시민들의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시민의 입장에서 생각, 시장인 본인이 먼저 솔선하여 안동시와 공직자의 새로운 변화가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권시장이 취임하기 전 공약들과 공정함의 약속들이 제...
  5. 안동의료원 2년 3개월만에 진료는 다시 시작했으나 의사가 없는 부서 많아 안동의료원 문기혁 원장이 지난 6월 사임한 것으로 밝혀졌다. 문원장의 사임은 의료원 직원들조차 알지 못하고 있었다. 사임이유는 일신상의 이유라고 병원측에서는 전했다. 하지만 문원장의 성폭행으로 인한 사임이라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병원측에서는 맞다고도 아니라고도 하지 않았다. 안동의료원은 최근 2년 3개월만에 진료를 재개..
최신뉴스더보기
한샘리하우스2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