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의 4선 의원인 안동시 다선거구(풍산, 풍천, 남후, 일직)의 권기탁 의원에게 안동·예천 통합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도청을 유치하면서 지금까지의 시간을 놓고 권 의원은 자신의 경험에서 나온 생각들을 풀어내기 시작했다.
안동시의회 권기탁 시의원
“경상북도 도청 신도시는 안동과 예천 지역에 걸쳐 유치되었는데, 안동과 예천이 힘을 합쳐 공동유치했다. 그 당시의 안동시장과 예천군수는 경북 북부지역의 발전을 위한 시민들과 군민들의 염원을 받들었다. 도청유치의 목적 중 안동이 행정구역 통합을 위한 중요한 구역이었으나 현재는 행정통합을 위한 발전축이 훼손 돼 있다.
누군가는 30만 도시가 되면 통합을 하자고 하는데, 신도청 10만 자족도시와 안동시와 예천군을 합쳐서 30만 도시는 사실상 힘들다. 인구 30만 도시를 이루려면 외부에서 인구가 유입이 될 만한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1단계 발전계획은 완성이 되었고, 2단계, 3단계 계획은 아직 시작도 하지 않았다. 이제 2단계 계획을 실행하려 하는데, 30만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인구가 유입될 만한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공단이나 국가산단 등이 유치되면 가장 좋다. 예천과 통합 후 검토하면 더 좋을 일이긴 하다.
안동·예천 통합을 위한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통합을 한 후 시너지 효과 등을 고려해야 함은 물론이고, 예천을 배려하는 조건을 먼저 만들어 주어야 한다. 무엇보다 안동시가 예천군민들의 요구조건을 살펴보아야 한다. 들어 줄 조건은 과감하게 들어 주어야 한다. 예천군도 무리한 요구는 자제해야 하는데, 예천군수가 통합의 의지를 보여야 하는 게 중요하다.
안동·예천의 통합은 처음 안동과 예천이 도청을 유치할 때의 마음가짐을 돌아보면 너무 쉬운 일이 된다. 안동과 예천이 도청을 공동유치할 때에는 북부지역을 발전시키려는 목적이 전부였다. 양 시·군이 공동유치에 합의한 부분은 북부지역의 낙후성을
타개하기 위한 대안으로 행정도시를 유치 함으로 해서 균형발전 축을 만드는 것이고, 궁극적으로 도청유지할 때의 합심이면 통합도 그리 무리는 아니라고 보여진다. 그 목적을 잊지 말고 안동과 예천의 시·군민들이 도청 유치 때의 약속을 지켜낼 의무와 책임이 있다.
안동시장은 시민들이 동조할 수 있는 통합에 대한 명확한 청사진을 내놓아야 하며, 예천군수는 통합의 의지를 보여 군민들을 설득해 나가야 할 것이다.“ 라며 통합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권 의원은 누구보다 안동·예천의 통합을 원한다고 했다. 안동과 예천의 시·군민들은 안동과 예천을 포함한 북부권의 행정구역 통합을 통한 발전을 염원하며 도청을 유치했던 초심(初心)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서로 양보할 건 양보하고, 경북 북부권의 발전을 위해 더 큰 미래와 더 큰 그림을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